사이트 내 전체검색

금융권소식

"AI 경고음 높아지는데 어쩌죠"…반도체株 전망에 '개미둥절' [이슈+]

반도체株 어찌하오리까
여의도 증권가 전망도 '극과 극'

다시 부각된 'AI 반도체주 고점론'

삼성전자 한 달간 주가 6%대 빠져
SK하이닉스는 약 10% 하락
고점 여부 의견 분분 "비중 줄여야" vs "시기상조"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월가에서 인공지능(AI) 시장에 대한 경고음이 높아지면서 국내 증시에서 반도체 대표주자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 역시 힘이 빠진 모습이다. 여의도 증권가에서도 반도체 과열론과 함께 관련주 비중을 줄이라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하지만 정점을 논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전날보다 600원(0.77%) 밀린 7만7700원에 장을 마쳤다. SK하이닉스는 5600원(2.93%) 하락한 18만5500원에 거래를 끝냈다.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를 비롯한 반도체 종목들의 주가가 줄줄이 하락한 영향이다. 엔비디아(-3.7%)와 AMD(-3.87%), 퀄컴(-3%) 등이 일제히 밀리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3.44% 하락했다.



최근 한 달간으로 시야각을 넓히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 부진은 추세적이란 점이 확인된다. 해당 기간 양사 주가는 각각 6.39%, 9.51% 밀렸다.

다음 주 증시 핵심 변수들이 포진한 만큼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위험자산을 줄이려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엔비디아가 오는 28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을 내놓을 예정인 가운데, 잭슨홀 연례 경제심포지엄을 앞두고 경계심이 커졌다. 간밤 잭슨홀 연례 경제심포지엄에서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은 피벗을 사실상 공식화했다. 그는 기조연설에서 "정책을 조정할 시간이 도래했다"며 "우리의 여정은 방향이 명확하다"고 밝혔다.

경기 둔화에 따른 반도체 사이클 고점 우려도 두드러졌다. 경기 침체 불안이 커지는 만큼 '돈 못 버는' AI 투자에 대한 당위성을 설명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면서다. AI 시장은 비용은 많이 들지만 그만큼의 수익성을 못 끌어오는 '돈 먹는 하마'일 수 있단 게 비관론자들의 논리다.

외국계 증권사 모건스탠리는 지난 20일 '반도체 업황 고점을 준비하라'(Preparing for a peak)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놓았다. 모건스탠리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매출 증가율이 올 3분기(21%)에 고점을 기록하고 4분기부터는 18%로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기업의 클라우드 투자비 증가율도 3분기(59%)가 고점일 것으로 예상했다. 모건스탠리는 "AI산업 투자 랠리는 영원하지 않다"며 "결국 반도체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는 순간이 올 것"이라고 짚었다.

국내 증권가에서도 '고점이 임박했다'는 의견과 '고점론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팽팽히 대립 중이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이달 들어 두 번의 보고서를 통해 'AI 거품론'과 '반도체 업황 고점론'은 시기상조라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엔비디아가 전 세계 점유율의 97%를 차지하고 있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시장은 2029년까지 연평균 39% 성장해 약 360조원에 이를 전망"이라며 "AI 학습 분야에서 엔비디아를 대체할 제품이 없고, 선두 업체가 없는 추론용 AI 반도체 시장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들이 주도권 확보를 위한 AI 투자를 수년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사이클의 고점 징후도 보이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그는 "3분기 현재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의 재고 수준, 설비투자 증가율, 영업이익률 등이 과거 대비 절반 수준에 불과해 반도체 사이클의 고점 시그널을 찾을 수 없다"며 "오히려 지금처럼 우려로 투자심리가 바닥일 때 반등이 시작된다고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해 '바이 앤 홀드' 전략을 권했다. 갖고 있지 않은 상태면 매수하고, 이미 보유 중이면 팔지 말라는 얘기다.

김영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도 "AI 기술 관련 빅테크의 투자가 견조한 만큼 반도체 사이클은 더 연장될 것으로 본다"며 "아직은 '피크아웃'(고점 후 하락)을 논하기엔 이르기 때문에, 비중을 줄일 필요가 없어 보인다"고 짚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T)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 메타, 알파벳의 AI 관련 투자는 약 144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다.

반면 매도 시점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들이 대규모 AI 투자를 지속하겠다고 했지만, 과거 클라우드 사례를 보면 올 연말 이후에는 투자 속도를 조절할 가능성이 높다. 초도 비용이 계속 유지될 수도 없는 데다 수익도 안 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추세적으로 반등은 어렵다고 보기 때문에 반도체 비중을 계속 줄여나가기를 권한다"고 조언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TIP 대출빌리고에 입점된 업체마다 기준과 상품,금리,상환기간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여러 업체와 상담해보시는게 유리합니다.
전국 대출업체 등록 현황
서울
푸른자금대부 서울
푸른자금대부
서울
나이스머니대부 서울
나이스머니대부
서울
가을대부 서울
가을대부
인천
열린25시대부 인천
열린25시대부
서울
가야대부 서울
가야대부
서울
나라대부 서울
나라대부
서울
제일종합대부중개 서울
제일종합대부중개
서울
세상대부 서울
세상대부
서울
희망서민파이낸셜대부 서울
희망서민파이낸셜대부
서울
나라대부중개 서울
나라대부중개
14 개 더보기 >
실시간 대출문의 등록 현황
경남
경남
13 시간전
경남
경남
2025-05-04
경남
경남
2025-05-04
제주
제주
2025-05-02
서울
서울
2025-05-01
경기
경기
2025-05-01
전남
전남
2025-04-28
서울
서울
2025-04-28
인천
인천
2025-04-26
경기
경기
2025-04-25
535 개 더보기 >

고객센터

1599-5869

평일 09:30 - 18:00 / 점심시간 12:00 - 13:0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계좌정보

기업은행 530-078323-04-018 예금주 : 권택수

대출 중개 플랫폼, 대출빌리고

대출빌리고는 광고 플랫폼 회사로서 직접적인 중개 및 대출은 하지 않습니다.
대출빌리고는 한국대부금융협회, 지자체 정식허가 업체만 광고 등록이 가능합니다.
대출빌리고에 기재된 광고 내용은 대부(중개)업체가 제공하는 정보로서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과도한 빚은 당신에게 큰 불행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중개수수료를 요구하거나 받는 것은 불법입니다.
대출 시 귀하의 신용등급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금리 및 상환안내

금리 연20% 이내, 연체이자율 20% 이내 (단, 2021. 7. 7부터 체결, 갱신, 연장되는 계약에 한함)
취급수수료 없음, 중도상환 수수료 없음, 중개수수료 없음, 추가비용 없음.
상환기간 : 12개월 ~ 60개월 / 총 대출 비용 예시
100만원을 12개월 기간 동안 최대 금리 연20% 적용하여
원리금균등상환방법으로 이용하는 경우 총 상환금액 1,111,614원
(단, 대출상품 및 상환방법 등 대출계약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채무의 조기상환수수료율 등 조기상환조건 없음.

사이트명 : 대출빌리고 | 상호명 : 대출빌리고 대부중개 | 대표자 : 권택수 | 개인정보책임자 : 권택수 |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한강로8길 22-2, 107호(금호동)
사업자등록번호 : 263-13-02744 | 대부중개업등록번호 : 2024-대구북구-0034 | 대부업등록기관 : 대구시 북구청 일자리정책과 053-665-2667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대구달서-0966 | 대표번호 : 1599-5869 | FAX : 0508-916-9516

Copyright © 대출빌리고 All rights reserved.
인증마크